물결 모양 또는 생선 비늘 모양으로 나타나 비늘구름 이라고도 하며, 털쌘구름, 조개구름 이라고도 불린다. 권적운은 작은 하얀 구름 조각들이 줄지어 나열된 모습으로, 일명 조개구름이라고도 불립니다. 권적운은 순우리말로 털쌘구름, 비늘구름, 조개구름이라고 불립니다.
어떤 사람들은 적란운의 상층부에 나타나는 모루구름이 바로 이것의 한 종류라고 판단하기도 한다. 아주 온도가 낮지 않다면 햇무리나 달무리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요. 마치 하늘이 회색이 된 것처럼 구름의 무늬가 드러나지 않는 구름이 안개구름이에요.
생선 비늘이나 잔물결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요, 5,000~13,000m 높이에서 나타납니다. 비늘구름이라고도 불리며, 얇고 흰 음영이 없는 조각의 얇은 층구름으로, 알갱이나 물결 모양의 매우 작은 운편들로 구성된다. 한국 가을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흔히 볼 수 있으며, 차가운 공기와. 이러한 형태는 바람의 전단에 의한 파동 운동으로 인해 생긴다.
구름 층이 매우 얇고 작은 구름 조각들이 띠 형태나 물결처럼 배열되어 있으며, 종종 서로 교차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권적운 (卷積雲, cirrocumulus)은 높은 하늘에 그늘이 없는 희고 작은 구름 덩이가 촘촘히 흩어져 나타나는 구름을 말한다. 이 구름은 빙정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5 ~ 13km의 고도에서 나타난다. 서울 강북 아파트 옥상 위로 바라보이는 하늘의 조개구름 풍경이 정말 환상적입니다.
어제 (6월 24일) 이른 아침 하늘을 곱게 수놓았던 조개구름 풍경입니다.